내 사진 2 (438)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무래도 겨울이다 보니 이침부터 따끈한 숭늉 한 사발에 누룽밥이 간절했었다 ... 어설픈 솜씨로 어찌어찌 밥에 누룽지를 앉히는데 성공 ... (지금 한 번 더 앉히는 중) (캐모마일-국화- / 토피-Toffe-넛-Nut- 다 필요없다 .) (사람 살아가는 맛을 살려주는 숭늉 ㅠ ㅠ) .. 오디오 설정의 지속 변화중 현재까지는 아래가 최종설정이다. 일단 중음역대 그러니까 250Hz 를 중심으로 대략 75 ~ 95Hz 음역대를 시작 지점으로 하여 그곳으로부터 2.2Khz 영역까지는 적어도 그래픽 이퀄라이져상에서의 선형적 주파수 응답특성 상에서는 하향곡선의 에너지레벨이 부여되는 영역이었다. 그런데 하향의 정도가 문제다. 중음역대가 지나칠정도로 하강된 것이다. 108 hz 영역에 설정된 로우 쉘프 밴드의 곡선은 대단히 강력한 왜곡을 저음역대에 부과하는데 중첩된 다른 로우 패스 밴드들과의 상호작용 때문이다. 이 때 왜곡되는 곡선이 오로지 저음역대에만 그 왜곡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매우 높은 고음역대의 영역까지도 대단히 비스듬한 사선과 유사한 하향 곡선의 형태로써 중고음역대 전반에 대하여서까지 큰 왜곡을 추가적으로 발생시키..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져 부록 기본 프리셋으로 최종 결과 확인(시스템 자동 측정값) 분명히 말 해 두지만 이 기본 프리셋은 하단의 필자 독자 규격의"커스텀 IV(II) " 설정의 값을 파워앰프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이 자동으로 분석하고 측정하여 실제 에너지의 분포의 영역을 최대한 단순화 하여 표현한 입력감도이다. (시스템이 사용자정의 이퀄라이져를 공식으로 자동 측정하여 나타내는 공식 측정값) 실제 저음역대의 입력감도는 분명히 다른 것이지만 그것은 원본이 유선 헤드셋 출력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이고 위 기본 프리셋은 필자가 유선 프리셋을 기준으로 만든 입력감도를 파워앰프 시스템 쪽에서 파워앰프 이퀄라이져 어플과 연동하여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필자가 실제로 현재 사용하는 기기 자체 내장 스피커를 기준으로 시스템이 자동으로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변화시키는 그래프다. 즉 필자가 주로 쓰는 EQ .. Successed.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져 이야기 결론) ※ 필자의 모든 음향 데이터는 그 어떠한 상업적 사적 이용도 모두 불허한다. (진위 판독 여부를 위한 테스트 목적 이외의 모든 사적, 상업적 이용 일체를 모두 불허한다.) 현재까지 가장 잡음이 없이 이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져 설정이다. 일부 음원에서는 여전히 잡음이 생성이 되는데 이는 어떠한 설정을 사용하여도 공통으로 나타나는 잡음이다. (필자가 보유한 3000여 곡중 단 한곡-현재까지-) 그러나 음정과 입력감도 둘 다를 해결하려면 현재로서는 이 방법뿐이다. (필자가 사용한 밴드의 수는 무려 10개 이지만 그 어떠한 설정과 비교하여도 부정확한 음질이나 잡음이 생성되는 일이 가장 적도록) (필자 나름대로는 상당한 고심끝에 10개의 입체적 용적의 밴드를 중첩하였다.) 진짜 노이즈게이트까.. 음질에대한 불만족과 기기 안정성을 최우선적으로 먼저 확보해야 한다는 유전자에 각인된 루틴 사이에서 http://blog.daum.net/japhikel/3149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져 완성본 - 컴프레서 설정 및 최종 EQ 데이터 변경 - 사유는 출력 과다 일단 설명은 나중에 (시간제한은 앞으로 5년 이내 심할경우 더 짧을 수 있다.) (관련 기술을 활용한 신종 범죄의 탄생까지) (기존의 모든 뮤지션들의 원음 소스 그 자체를 완전히 새로운 전혀 다 blog.daum.net http://blog.daum.net/japhikel/3105 소리의 위상차에 대하여 (최종 수정 본) 오로지 화석 연료만을 소비하는 형태의 독특한 음악 이 ※ 국제 표준 DRC 컨트롤 규격에 의하여 왜곡되는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응답특성 그래프 형태의 개념도는 본문 가장 마지막 부분에 새로 첨부 (최근의 파라메트릭 EQ 초안 2. ..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져 완성본 - 컴프레서 설정 및 최종 EQ 데이터 변경 - 사유는 출력 과다 ※ 필자의 모든 음향 데이터는 그 어떠한 상업적 사적 이용도 모두 불허한다. (진위 판독 여부를 위한 테스트 목적 이외의 모든 사적, 상업적 이용 일체를 모두 불허한다.) 일단 설명은 나중에 (시간제한은 앞으로 5년 이내 심할경우 더 짧을 수 있다.) (관련 기술을 활용한 신종 범죄의 탄생까지) (기존의 모든 뮤지션들의 원음 소스 그 자체를 완전히 새로운 전혀 다른 신 기술로 재 녹음을 하지 않는이상) (뮤지션이 보유한 원음 소스와 / 누군가가 인위적으로 만들어 낸 제 2의 원음소스에 대한 기술적 구분이 더이상은 불가능하게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제한이다.) (무슨 특별한 워터마크라도 개발이 되면 최소한 뮤지션들의 저작권은 지킬 수가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워터마크가 있다고 사람 귀가 구분할 수 없고 기.. 파라메트릭 EQ 프로토타입 (작성 중) 어느정도 프로토 타입이라 할 만한 설정이 탄생했다. 곧 기존 게시물과 합치할 예정이다. (필자는 유선 인이어 이어폰으로 작업을 진행한 뒤 최종적으로 스피커로 마지막 점검을 한다.) (새 집이고 아직 방음 시공 전이므로 영상 촬영은 방음 시공 끝나면 하겠다.) ※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져란? 1. 정확히 하자면 기준으로 지정한 주파수 대역의 Gain 함수의 변형이 그 좌우의 다른 주파수 대역과 위상의 각도차의 접점을 이루는 형식을 보다 더 입체적인 다각도의 접점을 이루는 방식으로 바꾸어서 (기존의 그래픽 이퀄라이져 기술에 추가적으로 대단히 복잡한 수많은 변수를 고려한 함수의 수식을 더하여) (위상의 각도차를 수평적으로 선형적 각도차만 고려하는것이 아니라 3차원의 입체로써 상하좌우 전후방의 전방향의 각도차의 접.. ※ 파라메트릭 EQ ※ 초안 2. (재작성) ※ 초안 3. 과 관련 내용의 추가 ※ 요즈음 필자의 EQ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져) ※ 필자의 모든 음향 데이터는 그 어떠한 상업적 사적 이용도 모두 불허한다. (진위 판독 여부를 위한 테스트 목적 이외의 모든 사적, 상업적 이용 일체를 모두 불허한다.) ◆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져의 경우 아래 전공자 분들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시스템상에 지정된 밴드 이외의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될수 있다면 수학이 전공자인분들 아니면 실험을 권장하지 않는다. 수학이나 물리학 컴퓨터 공학이나 전자공학 전공자분들-또는 관련 내용들을 깊이있게 배운 분들- 아닌 경우 절대 실험을 권장하지 않는다. ◆ (필자의 정당한 저작물에 대한 일체의 모든 사적인 사용을 불허한다.) ※ EQ 라는 프로그램은 사용하는 오디오기기의 주파수 응답특성에 거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을 수..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