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진 2 (438)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장 만들기 만약 면이 모자라시다면 국수를 삶아서 채반에 건진 뒤 찬물에 식힌 것을 물기를 빼고 추가만 해 주세요 라면은 제물에 삶은 것을 국물과 함께 넣어야 자장이 걸죽한 소스로 탄생합니다. (혹은 라면도 채반에 건진뒤 찬물에 식혀서 물기를 뺀 것을 넣어도 되는데 이때는 자장에 특별히 별도로 소량의 녹말가루가 추가되어야 합니다.) 양파 큰 것 한개 통채 청량고추 3개 춘장 2큰술 하고 조금 더 식용유 조금 설탕 반큰술 볶음 깨 한큰술 다진마늘 조금 귀욤 귀욤 >.< ♥ 셀카 사진의 비밀 (상면의 왜곡) (정확히는 상면 만곡을 이용한 비밀스러운 워터마크) 카메라 렌즈에는 광학 수차라는것이 존재합니다. 이른바 5대 수차라고 해서 볼록렌즈를 통과하는 빛이 광축으로부터 먼거리의 광선과 광축에 가까운 거리의 광선이 서로 다른 초점에 맺히는것을 일컫는 구면수차부터 시작해서 색수차 (빛의 주파수에 따라서 서로 다른 거리의 초점에 상이 맺히는 것) 스폿 퍼짐 (상면에 맺히는 특정한 점이 넓게 퍼지는 형태로 번지는 것) 그 외 광축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로 입사하는 광선에서 발생하는 코마수차(비점수차) 마지막으로 위의 비점수차와 구면수차 두가지가 한꺼번에 작용하여 발생하는 상면 만곡 (사진상의 피사체가 마치 어안렌즈로 찍은 결과물처럼 상면 자체가 구면으로 왜곡되는 현상) 등등이 있습니.. 변동사항 - 기존 게시물 간략화 버젼 저음역대는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이게 맞다. 그런데 이렇게 가면 고음역대 음정이 않맞는다. 골치 .... 아래는 간략화 버젼 핀 포인트 밴드를 기존의 8 개에서 2개로 줄였다. 이정도만으로도 이 기종의 앰프에는 엄청난 무리다. 이 설정에서는 중앙부 하강곡선이 없다. 당연히 음색의 변조도 없다. 좌측 저음역대 보강 곡선이 없는 커스텀 버젼도 있다. 음질이 대단히 명료하다. 데이터 공개 (게시물 정리는 나중에 ...) 최종 오디오 품질이 방송통신용 규격에 거의 근접하는 파라메트릭 EQ 첫 작품이다. (기존의 그래픽 EQ 는 방송통신용 규격보다 더 나으면 나았지 못하진 않았다.) 다만 음정이나 발현되는 음색, 강조되는 음역대는 어디까지나 필자의 독자 규격이다. (파라메트릭 EQ 가 유달리 잡음이 많이 발생하는 구간이 많고 다루기가 까다로운 구석이 있었다.) 아래는 최근에 액정이 부서진 과거 기종에서 데이터를 되살려낸 기존의 원본 영상 현재 상기 영상 촬영에 실제로 사용된 기종은 액정이 부서진 상태 (음료수 뽑아먹다가 한 번 떨어트린것이 ....) 아래는 위 영상에 대한 인코딩 버젼 1. 전체 3개의 영상중에서 음질은 이 영상이 가장 훌륭하다. 주파수해상도와는 다른 부분이다. 아래는 위 영상에 대한 인코딩 버젼 2. 전체.. 완성된 레이아웃 (우퍼는 운전이 요구되는 기기이다.) 형식은 결국 이렇게 간다 현재 완성본 사진인데 ... 필자가 굳이 데이터를 공개할 이유가 있을까? (영상 하단에 그래프만 참조를 바란다.) (영상은 기존 영상인데 EQ 가 동일한거나 마찬가지다.) (음질은 일단 파라메트릭 EQ 쪽이 더 우수하지만 새 영상 촬영은 새집 방음시공 끝나고 난뒤로 미루련다 ....) (원래 가장 이상적인 음향은 중간에 마이크도 스피커도 없이 오로지 음향만이 홀로 허공에 떠 있는 느낌이다.) (기존의 밴드 이퀄라이져로는 그것이 불가능했다.) (선형적인 주파수 응답특성으로 인하여 가장 이상적인 해상도에서 팽팽하게 긴장되는 느낌이 발생했다.) (그러나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져는 그런것이 없다.) (현재 우퍼의 컨디셔닝 조정중에있다.) 아래 게시된 영상의 원본영상 링크 http://blo.. 진짜로 이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져 음정 음색 디스토션 다 잡아내기까지 얼마 안남음 아직 저 세 밴드 구간이 조금 불안한 구간이 있는데 곧 정리될 예정 Test 1. 번 음정 그 자체는 가장 정확하지만 분명히 음색에서 디스토션이 발생하는 음향 (전반적으로 발현되는 음색 전체에서-전 주파수 대역에서- 명백한 디스토션이 발생 (보컬사운드에서 두드러지지만 -중음역대에 두드러지지만- 그것만은 아닌, "음색" 의 디스토션) (그러나 옥타브의 표현에서 일반인은 어? 이거 정답 아닌가? 하고 착각하기에 딱맞은) ↓↓↓↓↓↓↓↓↓↓↓↓↓↓↓↓↓↓↓↓↓↓↓↓↓↓↓↓↓↓↓↓↓↓↓↓↓ 원래는 사실 1번 그래프가 나와야 하는 것인데 ↑↑↑↑↑↑↑↑↑↑↑↑↑↑↑↑↑↑↑ 파라메트릭 EQ 의 각각의 개별적 밴드가 일으키는 왜곡이 너무 커서 정작 V 형태의 주파수 밴드를 구성을 하려다가도 황당하게도 중음역대가 너무 지나치게 하강되어 나타나는 특이한 현상 원래는 1번 그래프가 정답이다. ↑↑.. 하아 .... 있으면 잡음이 나고 없으면 좌우 출력레벨 균형이 않맞고 ... 위상도 상당히 변조된 출력이 나온다 ... 음정이야 문제없고 잡음은 완전히 잡았고 음질도 매우 우수한데 (저 문제의 분홍이가 없을경우에) 위상이 살짝 변한 음향이 나온다. 소리의 각도차가 어딘가 어색한 각도차다. 동시간대상에서 발생한 둘 이상의 파장 사이에서 그 파장이 발생한 지점에대한 3차원 좌표상의 차이가 발생한다는 뜻이다. 일단 좌우측 밴드 전체에서 기존의 로우 쉘프 곡선도 우측의 분홍 하이 쉘프도 아예 삭제했다. 그러자 모든 잡음은 완전히 사라졌다. 이제부터 본격적인 음정맞추기 작업이다. 음정과 음색을 완전히 맞추기 위한 기본 베이스다. 아무런 잡음도 앰프이상도 발생시키지 않을 기본 베이스가 비로소 완성된 것이다. (고음역대 음정맞추기..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