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사진 2

중간 정리 - 현재까지 수집된 보석류와 적용된 아이템 현황 및 수집된 도안 현황

 

 

 

 

너무나 달콤했던 꿀잠을 깨어서

 

 

 

 

 

 

 

 

 

보석 하나에 치명타 +2 / 유연성 +2 (도합 + 4스탯 그 중에서도 대단히 훌륭한)

아이템 보석 홈은 3 개

장착 보너스는 유연성 +1

 

 

 

 

 

 

 

 

민첩 + 2 / 치명타 +2 도합 +4 스탯

(가장 최 상위급 +4 보석류)

 

(현재까지 수집된 +4 보석은 위 두 개)

 

보석 홈은 도합 3개 + 3개 = 6개

 

회피 옵션은 딜러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광역 회피는 적용 되지만

물리공격 회피는 오로지 탱커만 적용된다.

무기막기도 마찬가지

 

 

 

 

 

 

 

 

 

 

 

 

마찬가지로 회피 옵션이 문제일 뿐

 

보석 홈은 분명히 3개인 아이템

 

현재까지 한 캐릭에 보석 홈은 모두 9개

(3 + 3 + 3 = 9)

 

 

 

 

 

 

 

 

 

 

장갑에 또 하나 

 

지금까지 10개

(3 + 3 + 3 + 1 = 10)

 

 

 

 

 

 

 

 

 

 

 

마지막 장화에 다시 보석 홈 2

 

총 합 12 보석 홈

(3 + 3 + 3 + 1 + 2 = 12)

 

착용 가능한 최대 보석 스탯 량

 

7 + 12 + 4 + 4 + 4 + 4 + 4 + 4 + 4 + 4 + 4 + 4 = 59

위 총 스탯 량에 장착 보너스로 다시 + 3 총 62 스탯

 

 

 

 

 

 

 

 

 

아래부터는 현재 수집된 도안들

 

 

 

 

 

 

 

 

 

허리띠 보석 + 2 장착 보너스 + 1

(보석 장착 이익 +9)

 

 

 

 

 

 

 

 

 

갑옷 보석 홈 + 3

장착 보너스 + 1

 

보석 장착 스탯 + 13

 

(2 + 3 = 5)

 

 

 

 

 

 

 

 

 

 

 

다리 부위

 

보석 홈 + 3 / 장착 보너스 + 2

 

스탯 이익 +14

 

(2 + 3 + 3 = 8)

 

 

 

 

 

 

 

 

 

 

 

신발류 도안

 

보석 홈 + 2

장착 보너스 + 1

(스탯 이익 + 9)

 

(2 + 3 + 3 + 2 = 10)

 

 

 

 

 

 

 

 

 

 

 

손목

 

보석홈 + 1 / 장착 보너스 + 1

장착 이익은 +5

 

(아래 중복 도안 존재하므로 계산 제외)

 

 

 

 

 

 

 

 

 

 

 

 

 

 

 

다시 손목

보석 홈 + 2 / 장착 보너스는 + 2 이지만 적용되지 않으므로 0

 

장착 이익은 + 8

 

(2 + 3 + 3 + 2 + 2 = 12)

 

 

 

 

 

 

 

 

 

 

 

 

 

 

 

마지막 다시 허리

 

보석 홈 + 2 / 장착 보너스 + 1

 

장착 이익은 + 9

 

(허리 역시 최상단에 중복 도안이 존재 하므로 계산 제외)

 

 

 

 

 

 

 

현재 사슬 가죽이 혼재되어잇고

 

허리와 손목에 중복 도안들이 두 가지 존재하기는 하지만

 

 

중복을 피해서 사슬과 가죽 모두 저정도 보석홈의 확보가 가능하다고 하자

(아직 도안 수집이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대단히 많은 평판 도안과 드랍 도안들이 더 존재하므로)

 

 

 

 

보석홈은 일단 기본 + 12

 

장착이득은 최소 + 64 이다.

 

보석 홈 (2 + 3 + 3 + 2 + 2 = 12)

 

기대 장착 스탯 최소량 (7 + 12 + 4 + 4 + 4 + 4 + 4 + 4 + 4 + 4 + 4 + 4 = 59)

(위 총 스탯 량에 장착 보너스로 다시 최소 + 5 총 64 스탯)

 

 

 

 

 

이정도면 작정하고 투자 해 보기에 충분하다

시간이 그리 오래걸릴 일도 아니다.

 

(페이스에 따라서 많이 다르겟지만 죽자고 매달리면 몇 주?)

 

 

 

 

 

나름대로 꽤나 재미잇는 일정의 빅픽쳐다

 

(이런 종류의 빅픽쳐를 실행하려 할 때 주의할 점은 일정의 조율이다.)

(만렙 캐릭이 일단 앞에 두 캐릭이 있으므로 만렙 일정과 빅픽쳐 일정 사이에서 적절한 조율이 필요)

 

 

 

 

어차피 시간 여행 던젼이 있는데 ....

시간 여행 던젼 + 요즈음 최상위 인스턴스 드랍 템과 퀘스트 조금 변화만 주면

과거의 유물도 시간 여행 아이템 처럼 요즘 아이템 레벨이 되어 주기만 해도

흐음 ...

 

 

 

애석한 것은 시간여행 던젼에서 보석홈 아이템은 없다 ...

(아이템 밸런스 대비 스탯 이득 총량이 크다는걸 블쟈에서 알고 고의로 막은건가?)

 

(정말이다 현재 시간여행 던젼으로 표시되는 모험 안내서상에 어느 던젼에서도 보석홈 아이템은 드랍되지 않는다.)

(대격변 판다리아 두 시간대의 시간여행 던젼에서 보석홈 아이템은 하나도 없다.)

(판다리아는 몰라도 대격변은 확실히 고의)

(대격변 영원의 샘에서 분명히 보석홈 아이템이 드랍 되는데 시간여행 던젼에서는 누락되어잇다.)

 

 

 

분명히 드랍될 때부터 보석홈이 존재하는 대격변 아이템

그러나 시간여행 던젼에서는 누락

 

보석홈 장착시 이득이 너무 크기 때문에 블자에서 제한을 걸어둔 것으로 현재 추정된다.

 

(하아 ... 본캐가 보석세공인데 ㅠ ㅠ)

 

 

 

 

 

 

 

 

 

 

 

 

 

 

 

 

 

개인적으로 근원류 노가다는

 

일정 지역내에 존재하는 모든 정령들을 그냥 다 쓸어담겟다는 시나리오를 추천한다.

 

(여기 이 곳 지역 내에서 나는 대지근원만 구할 거다 라고 날아다니면서 대지 정령만 잡으려 한다면)

 

(오히려 그게 더 큰 시간의 낭비다.)

 

 

 

 

 

 

 

 

 

 

 

 

 

 

만약 특정 인스턴스에서 몹들이 특정 드랍을 하고

그 인스턴스를 초기화 시키고 무한 작업을 할 수 잇다면

 

(예를들어 지하수렁 생명근원 및 가죽 노가다가 그렇다)

 

(일반던젼에서 인스턴스 초기화로 무한작업이 가능하다.)

 

(즉 적어도 현재 생근과 톱니매듭 가죽 그 두가지 재료는 지하수렁에서 무한대로 구할 수가 있다.)

 

(나머지 근원류 들과 특수 가죽류들이 문제인데)

 

( 그 지역에서 가죽세공에 필요한 재료를 그것만 구해야지 보다는)

 

(이를테면 수적박힌 가죽 이라던가... 지옥 통가죽이라던가, 코브라 비늘이라던가,...)

 

(그 지역 내에서 가죽세공과 관련된 거의 모든 재료를 주 재료와 함께 쓸어 담는 쪽이 더 낫다.)

 

(이건 구하고자 하는 재료를 주는 몹이 적고 다른 재료를 주는 몹들이 함께 석여잇는 경우)

 

(즉 오리시절 숙련도 상에서 발생한 그 문제와 똑같다.)

 

(지금 필요한 재료를 아예 아이템 테이블 상에서 그 숫자를 줄여놓고 다른 부속재료들과 함께 드랍 되도록)

 

(오리시절에는 드랍율을)

 

(불성에서는 드랍하는 몹들의 숫자와 분포를 조절해 놓은 것이다.)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결국 게획과 일정을 잘 짜서 진득하니 대량으로 구하는게 맞기는 하지만 ...)

 

(그나마 오리지널 가죽 세공 숙련 작업보다는 훨씬 쉽다 ...)

 

 

 

 

 

 

 

 

 

 

대지 근원을 주는 대지정령 작업에 아래지역을 빼 놓을 수는 없는데

(요즈음 기준으로 한 번 쓸고 나서 몹이 젠 될 때 까지 대기시간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한 번 쓸어 담고 하늘로 올라서 느긋하게 사진 찍기 ....

 

 

 

 

 

 

 

위 검정색 타원형 동그라미 지역 내에 대지정령들이 그 숫자가 많기는 하지만

 

여기는 인스턴스가 아니고 초기화가 없다.

 

다만 저 작은 지도상의 동그라미를 직접 눈으로 보면 아래와 같다.

 

 

 

 

 

 

 

 

젠 될 때 까지 기다리느니 ......

 

 

 

 

 

 

 

 

 

 

 

 

 

한 두마리 젠이 되기는 햇는데 ....

 

원래 이 지역에는 저 끝 까지 이 아이들이 가득한 지역이다.

 

잡고나서 한참 지나서 겨우 한 두마리 젠이 된 것

 

모두 젠이 되려면 대기 시간이 꽤 길고

 

결국 타원형 검정동그라비보다 더 위쪽에

 

(지도상 북쪽)

 

어둠티끌 작업과 병행하는 편이 가장 낫다.

 

겸사 겸사 이것저것 다 잡을 수도 잇다.

 

 

 

 

 

 

 

 

 

※ 최종  테스트 결과

 

 

 

 

 

 

 

다시 한 번 더 다 쓸고 난 뒤다 시 젠 될 때 까지의 대기 시간을 기다리는것 보다는

 

아주 조금 더 지도상 북쪽 지역의 바람 정령과 어둠 정령을 돌아가는 길에 같이 잡고 반대 쪽부터 다시 시작하는 코스가 가장 좋다

 

(불정령 지역은 여기서 조금 머니 그건 나중에 구하는 것도 방법이기는 하는데)

 

(중요한건 불근이 꽤 많이 필요하다.)

 

(선택이기는 하는데 일단 이쪽에서 대지근원에 조금 더 집중하는게 현재로서는 더 낫다)

 

(일단 당장 필요한 재료가 인터벌은 잇어도 양은 꽤 많이 나오니)

 

 

 

 

 

 

 

 

 

 

 

 

 

몇 번을 테스트를 해 보더라도

 

이 쪽 지역과 병행 작업이 가장 안정적인데

 

결국 한 지역에서 하나의 재료만 구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다.

 

(인터벌을 기다려야 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

 

(생각보다 젠 타임 인터벌이 꽤 길다.)

 

(한 자리에서 몹 하나를 잡고 다시 그것이 다시 젠 되기를 기다려야 할 이유가 없는 수준의 인터벌)

 

 

 

 

 

 

 

 

(과거 시점 기준으로 보더라도 마찬가지)

 

(나만 혼자 작업을 하는 지금도 인터벌이 필수인데)

 

(뭘 어떻게 해도 한 지역에서 하나의 꼭 필요한 재료를 충분히 드랍되지 않도록 해 놓은 것이다.)

 

 

 

 

 

 

 

선택 1.

 

 

 

 

가만히 서서 방금 잡은 대지정령이 다시 젠이 되기까지를 기다린다.

 

 

 

 

 

 

 

 

 

선택 2.

 

 

 

그냥 얘들도 같이 잡는다.

 

(코앞이니까)

 

 

 

 

 

한줄 쓸고 기다렷다가 다시 쓸고

 

한줄 쓸고 기다릴것 없이 옆줄 쓸고 그동안 젠된거 역시 기다릴 필요 없이 또 쓸고

 

(그나마 불성 때보다 상황이 나아지기는 한 것이지만)

 

원래 근원 노가다가 악명 높앗던 이유가

 

한 지역에서 플레이어가 지금 당장 필요한 재료를 얻기에 충분한 몹의 분포가 원래부터 아니었고

 

그게 지금도 마찬가지라는 거다

 

 

 

 

 

 

그런데 오리지널 가죽 세공 숙련 재료를 얻는 작업은 

 

지금 이 근원 노가다 보다 훨씬 더 악질이다.

 

(그냥 차원이 다르다.)

 

(실질적인 전체 재료의 양만 놓고 보면 즉 나중에 보면 그렇지 않다고 생각은 되는데)

(막상 그런 누군가의 조작 때문에 일정이 뒤틀리기를 여러차례 반복 하면 심리적으로 악영향이 ㅡㅡ)

 

 

 

 

 

 

 

 

 

 

몇번을 다시 해 봐도 마찬가지다.

 

여기서 지금 잡은 몹이 다시 젠이 될 때 까지 기다리지 않고 

 

중간에 다시 젠이 되어 잇지도 않지만

 

중간 줄에 만약 젠이 되어 잇더라도

 

중간부터 다시 시작하면 다 꼬여버린다.

 

그냥 내가 서 잇는 이 자리에서 최소 3분 최장 5분을 그냥 넋놓고 기다려야 하는데

 

 

 

 

 

그냥 옆줄 잡는게 더 낫다 정신건강상 ...

 

 

 

 

 

 

 

최종 추천 지역 정리

 

검은 동그라미 대지정령 한 줄 잡고 

 

붉은 동그라미 바람 / 어둠정령 또 한줄 잡고

 

다시 검정 동그라미 반대쪽 위치에서 대지정령 또 한줄 잡고

 

 

 

 

 

근원류 노가다는 다시 말하지만

 

어느 한 지역에서 구하는게 가능한 모든 근원을 한꺼번에 다 구하는게 가장 좋다.

 

지금은 잡는 속도가 빠르고 몹의 분포가 적다는게 그 이유다.

 

(과거에는 다른 이유)

 

 

 

 

 

그나마 가장 밀집된 두 지역을 정리한 것이고

 

나머지는 완전 드문드문이다.

 

 

(어떠한 경우에도 필드에서의 재료 노가다는)

 

(그냥 잡을 수 잇는거 다 잡아야 한다.)

 

(필드는 인스턴스처럼 내가 몹을 내 의지로 젠을 시킬수가 없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여기까지 바람정령들과 어둠 정령들을 모두 잡으면서 오는 동안에도 

 

아직 아래쪽 지역은 젠이 완료되지 않앗다.

 

만약 나는 탈것의 속도가 빠르다면

 

위 쪽 불정령들까지 다 잡아도 될 정도다

 

 

 

 

 

 

 

 

 

 

 

 

 

 

만약 캐릭터가 만렙이거나 그에 준하는 경우

 

필자의 첫 번째 조언대로 가라

 

 

 

 

 

 

 

만약 한가지 재료만을 구하겟다 라고 하면 말리지는 않겠다

 

다만 아래 사진을 보라

 

 

 

 

 

 

 

 

 

 

 

 

 

가방이 가득 차서 보급차 귀환지에

 

 

 

 

분명히 필자는 저 재료들을 다 구해야 하는 상황이엇고

 

실제로 모두 잡아왔다.

 

그리고 대지근원 보다는 바람 근원이 숙련올리기에는 더 적합햇다.

 

그냥 필드 몹 분포가 저렇게 밖에 않되어 잇엇던 것 뿐이다.

 

(이번에는 어떻게 보면 필드 공간이 부족해서라고 보는게 더 정확할 테지만)

 

(그렇다 할지라도 부족한 공간에 제작 재료를 저렇게 다양하게 구성하려는 시도 자체가 ...)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굉장히 긴 시간을 여러차례 일정을 조율해야 하는 일일 뿐)

 

(특히나 가죽은 ㅡㅡ;;)

 

 

 

 

※  정리 하자면 근원류는 모든 근원류가 지금 당장 다 필요한데

 

인스턴스에서 확정 드랍으로 단시간 대량 작업이 가능한 근원류가 오로지 생명의 근원 뿐이다.

 

그리고 오리지널 가죽세공은

 

지금은 필요하지 않고 두꺼운 가죽 숙련이 끝나면 그 때 필요한 튼튼한 가죽을

 

하필이면 두꺼운 가죽을 구해야 하는 시기에 두꺼운 가죽보다 더 많이 드랍시키는 방식이엇다.

 

 

 

 

 

 

 

 

 

 

 

 

 

 

일단은 민첩 +4 마부가 아까우니까

 

체력 + 10 마부는 나중에 다른 장갑에 ....

 

 

 

 

 

 

 

※ 추가 내용

 

현재까지 테스트한 바로는 

 

정령의 고원 쪽이 가장 훌륭한 근원 노가다 장소다

 

 

 

 

 

물 불 바람 대지가 모두 잇고 어둠만 없는데 어둠은 오슈군 쪽에서 무한 노가다가 가능하다

(오슈군 어둠 정령은 원형 배치라서 돌면서 잡다보면 무한 노가다가 가능 ... 밀집이 아니라 드문드문이라서 시간당 획득량은 ...)

 

정령 고원 쪽은 한쪽에는 불정령들을 중심으로 바람과 대지가 있고

 

그 옆쪽 샛길로 물정령 구역이 따로 있다

 

한지역 정리후 옆지역으로 이동하면 젠이 완료되어있다.

 

사진상 화살표가 위치한 지역에 물정령 구역이 존재하고 화살표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불과 대지 바람정령이 존재한다.

 

오슈군 어둠정령과 

 

이쪽 정령의 고원 쪽 두 곳이 현재 캐릭터들 기준으로도 무한 노가다가 가능하다.

 

(생근을 다른 근원으로 변환하는 방법도 잇기는 하는데 ... 쩝)

 

(연금술이 반드시 필요한 일이므로 일단 이건 패스)

 

 

 

 

 

 

 

 

 

※ 나그란드 정령 고원 근원 수집 현황

 

 

 

 

근원들 로만 따졌을 경우

 

가방이 가득 찰 때까지 대략 근원으로만 15개 정도 되는건데 

(어둠 티끌 9 개를 0 으로 치면 14개)

 

 

....

 

 

 

 

 

 

근원 변환은 연금술이 필요하므로 패스 ...

 

 

 

 

 

 

 

 

 

 

◆ 현재 까지 수집된 근원들 종류별 현황 ◆

 

 

 

 

 

가방 칸에는 아직 여유가 조금 잇으나

 

불근은 목적한 8개를 채웠고

 

바람 근원도 소기에 목적한 갯수 6개를 채웠다.

 

대지 근원은 처음에는 3개를 목적 햇지만

 

여유 분으로 6 개를 더 구햇고

 

물의 근원이나 어둠의 근원은 아직 특별한 게획이 없는 상태에서 여유로 각기 물 5개 / 어둠 2개를 구햇다.

 

8 + 6 + 9 + 5 + 2 = 30개정도의 근원을 하루동안 구한 셈인데

 

이정도면 정말 불성 때에 비하면 너무나 쉽게 구한 양이다.

 

그러나 막상 인벤토리 아이템 현황을 가만히 보고 있노라면 플레이어 입장에선 정말이지 기가막힐 노릇이랄까

 

여유로 각기 한개 정도씩 더 구해야 하는데 

 

일단 이만큼만 하고

 

 

 

 

 

 

 

 

공대 일반몹들로부터 드랍 도안 얻는 작업을 좀 추진할 필요가 잇을듯 하다.

 

오늘 작업한 결과로 숙련이 65가 되기는 햇는데 ...

 

하아 ...

 

아래 사진에서 보이듯 재료 수급 문제가 일단 장난이 아니다.

 

 

 

 

요건 냥꾼 부캐릭 주고 ....

 

 

 

 

 

 

더이상 보유한 방어구 키트 도안들만으로는 숙련이 오르지 않는다.

 

 

더이상 방어구 키트는 이제는 절대 숙련이 오르지 않는 시점에서

 

더 높은 숙련도를 올리려면 일단 도안을 구해야 하는 상황이 되엇다.

 

최대한 많은 도안을 새로 확보 해야 보다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가 잇고

 

필요한 재료의 수급에 대해서

 

진짜 작심하고 연금 약채 부캐릭을 하나 더 만들던가 해서

 

근원 수급 문제를 해결을 보던가

 

(근원 변환 ...)

 

(그 경우 인스턴스에서 대량으로 생근만 먹어도 ....)

 

(레벨 37 까지야 뭐 쉬우니 ....)

 

(근원변환식을 배우기가 쉬우냐 그게 관건인데 ....)

 

(빛벼림을 하나 또 만들어 보나 ㅠ ㅠ)

 

 

 

 

 

 

단 도안 작업부터 가고

 

대격변 가죽세공 숙련도도 어느정도 올려 봐야 겟다.

 

나머지는 그 뒤

 

 

 

 

 

 

 

 

 

 

 

내가 요 귀엽고 예쁜 물딩딩이들을 ㅠ ㅠ

 

보기만해도 마음이 편안한 요 아가들을 ㅠ ㅠ

 

무슨 근원이 어쩌네 하면서 하루 죙일을 ㅠ ㅠ

 

 

 

 

 

 

어둠땅 대장기술 풀 숙련도의 대장, 채광 부캐릭 스텔라고사 -부캐릭이지만 현재 본캐보다 템은 좋다.

 

스텔라고사 캐릭터, 당연히 어둠혼 방어구는 제작이 된다.

 

 

 

 

 

보석세공 숙련을 올리는 중인 본캐릭 이세라, 스텔라고사 키울 때 제대로 함 달리느라 잠시 뒷전이 되었지만 이캐릭이 원래 본캐다 재료들이 꽤 많이 모였다 현재

 

이세라 캐릭터의 경우 대격변 보세가 현재 풀숙련은 아니지만 어둠혼 목걸이 반지 제작은 가능하다.

 

 

 

어둠혼 방어구 가죽 세공 아이템 제작을 목적으로 키우기 시작한 다른 부캐릭 마리앙느 현재 37레벨

 

 

 

이캐릭은 원래 키우려고 계획햇던 페이스 대로 가고 잇다.

 

즉 복귀 할 당시 본래 키우려 햇던 페이스

 

다만 원한다면 언제든 이 캐릭터도 스텔라고사 부캐릭과 마찬가지로

 

현재 레벨에서 이틀이면 만렙까지 달려가는것은 쉽다.

 

그런데 그러면 다시 고레벨일 때 이곳 제작기술을 배워야 하는 상황이 되는데 

 

막상 해 보면 그건 굉장히 짜증난다.

 

그래서 그냥 지금 레벨에 이곳 것을 배우는 중

 

 

 

 

 

 

 

 

 

 

 

 

쩝 ...

 

쓸만한 가죽 도안은 하나 ....

 

(재료를 보건대 근원 변환 할 연금 부캐릭이 하나 더 잇어야 하겟다.)

 

(마부, 재봉-45렙- / 보세, 채광-만렙- / 대장, 채광 -만렙 / 그리고 지금 현재 / 가세, 무두-37 레벨-)

 

(여기에 연금, 약채 하나 만들어서 재료 수급좀 도와주면 빅픽쳐는 완성인데 ........)

 

(일단 근원 수급 이외에도 아무래도 연금술이 대격변 도안이나 군단 격아 까지도 큰 영향을 줄것 같다.)

 

(아무래도 가죽세공 이외에도 다른 전문기술들도 상황이 마찬가지일것 같다는 강한 예감)

 

(현재 대장 캐릭터는 어둠땅 대장기술 풀 숙련도)

 

(중간단계 건너 뜀)

 

 

 

 

 

일단 다른데 가자 ....

 

비호감 애들은 좀 건너 뛰고 ...

 

(불쾌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