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폰&오디오

악기의 종류와 본연의 소리 - 한민족의 고유 악기는 특히 숙련자가 아니면 고유의 소리를 내기가 대단히 어렵다.(타악기는 예외)

악기의 종류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 정도다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

위 세 가지 악기 종류 중에서
고유의 음향으로써 모든 옥타브를 온전히 표현하기가 가장 어려운 악기는 바로 관악기다.

대단한 숙련자가 아니면 거의 대부분의 관악기 종류는 기본 옥타브 표현 자체가 거의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한다

아예 음향을 처음 내는 단계에서부터 모든것이 고난의 연속이다.

소리가 나 주는것 조차도 감지덕지 해야 할 악기중에 단소와 대금이 있다.

솔직히 한민족 고유 악기중에서 관악기의 난이도는 전세계 모든 관악기 중에서는 중상 정도다

평이 또는 평이함보다 조금 어려운 정도
(어디까지나 관악기 전체 악기군 사이에서 비교적으로)
(딘소나 대금은 초심자는 소리를 내어주는것 부터가 고난이다.)

그다음 고유의 사운드를 발휘하기가 어려운 악기는 타악기와 현악기가 거의 비슷한 난이도를 자랑한다.

그 중에서 일부 현악기는 관악기 만큼은 아니더라도

여타의 다른 현악기나 타악기에 비하여서
고유의 옥타브를 온전히 표현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악기가 몇 있는데

가장 어려운 현악기는 해금과 바이올린이고 (그 종류)

그 다음이 바로 가야금과 거문고다.

해금이나 바이올린 첼로등과 같이 활을 써서 소리를 내는 악기는 부드럽게 이어지는 사운드를 내는 그 자체가 관악기에 비견될 만큼 어렵다.

피아노의 경우 소리를 내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은데 손가락이 꼬이기 쉽고

즉 기술적으로 다루는 부분에서 유난히 실수가 유발될 확률이 높고

물론 피아노는 어떻게 건반을 누르고 건반을 누를 때 느낌을 어떻게 조정하냐에 따라서

잔향이 길게 이어지게 할 수도 있고
자신이 누른 건반음만 딱 듣고 잔향을 끊을 수도 있어서

또 그 잔향의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어떻게 건반을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술적 접근이 대단히 재미있는 악기다.

기타의 경우는 키를 잡기가 어렵고 옥타브 표현에서 유난히 손이 바쁘게 움직이는 악기인데 전체 현악기 중에서 본연의 소리를 내기가 가장 수월한 편인 악기다.

단 옥타브 표현은 해금이나 바이올린 다음으로 어렵다. (비슷한 난이도라 해야 할까?)

가야금의 경우
손으로 뜯는 현악기 가운데에서 가장 고유의 소리를 내기가 어려운 악기다.

현이 명주실로 만들어지는 까닭인데

옥타브의 표현은 기타보다는 쉽지만 그렇다고 해서 단순한것은 아니고 다루는 기법이 어느정도 기타와 유사성이 조금은 있다.

그런데 옥타브 표현이 문제가 아니라

본연의 소리를 뚱 ~ 땅 ~ 하고 내어주는 자체가 대단히 어렵다

기타의 줄처럼 금속으로 된 현이 아니라

말 그대로 '명주 실' 을 꼬아서 소리를 내는 현으로 쓰기 때문이다.

섬유는 흡음성이 대단히 우수한 소재인데
그 흡음성이 대단히 우수한 소재를 가지고 악기를 만들었으니 그야말로 숙련자가 아니면 본연의 소리를 내기가 너무나 어려운 것이다.

(우리나라 악기가 대체로 그런 편이다.)
(아예 소리를 내는 단계 부터가 대단히 어렵고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는 악기들로 이루어져 있다.)
(꽹가리나 징과 같은 타악기는 그낭 치면 거의 대부분의 사용자 손에서 제 소리가 나오도록 만들어져 있지만 가야금 거문고 단소 대금등 관악기나 현악기 모두 전체 동종 악기군 가운데에서 특출나게 어려운 숙련도를 요구한다.)


마지막으로 타악기 중에서 드럼이라는 악기는 모든 악기를 조율할 수 있는 거의 현존하는 유일한 중심 악기다.

필자의 입장은 모든 악기중에서 가장 어렵다.

소리를 내기는 관악기에 비해서는 훨씬 수월하지만 다루기 위해서는 모든 악기를 조율할 수 있는 능력의 소유자가 아니면 다룰 수가 없다.

4/4 박자 1분 유지도 불가능할 것이다
거의 모든 초심자가